은해사 운부암
하루의 시간 중에서 사람의 정신이 가장 맑을 때가 새벽시간입니다. 수면을 통해 피로했던 심신이 새로워진 탓도 있지만 어둠이 가시고 밝음이 퍼져가는 새벽은 대우주의 기(氣)가 가장 충만해 있기 때문입니다. 일체 생명체들이 법음(法音)을 듣고 미망에서 깨어나라고 각성을 촉구하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불도의 갖가지 의식을 행하는 깨끗한 마당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도량석은 도량을 푼다 또는 맺힌 것을 풀리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도량석을 하는데 있어서 목탁을 갑자기 치치 않고 서서히 약한 음에서 높은 음으로 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하는 까닭은 모든 신들이나 생명이 있는 것들이 놀라지 않고 깨어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짚고 다닌 데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도량석의 석(石)자가 석장의 석자라는 설도 있습니다. 위의 설로 미루어 볼 때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맹세코 번뇌를 다 끊고 법문을 다 배우고 불도를 다 이루어 마침내는 일체중생을 다 구원하겠다는 깊은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모여 아침예불을 올리고 청정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도량석이란 사찰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뜻이 담긴 의식입니다.
출처 : 불교인터넷음악방송국 |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0) | 2009.08.07 |
---|---|
육조단경10 / 앉아서 움직이지 않는 것(坐不動)이 삼매가 아니다 (0) | 2009.08.07 |
육조단경9 / 입으로만 법의 곧음을 말하지 말라 (0) | 2009.07.06 |
육조단경8 / 항상 곧은 마음(直心)을 행하는 것 (0) | 2009.06.28 |
사천왕(四天王) (0)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