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28 / 어떤 법도 얻은 바가 없다 "그와 같다. 수보리여, 그와 같나니라.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그 어떤 법도 얻은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이름한다. "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강좌 기도 2011.10.15
보살의 의미 범어 bodhi-sattva의 음략(音略)이다. 도중생(道衆生), 각유정(覺有情),도심중생(道心衆生) 등이라고 번역한다. 또한 무상보리(無上菩提)를 구하여 중생을 이익케 하고 모든 바라밀(波羅蜜)의 행(行)을 닦아서 미래에 불타의 깨달음을 열려고 하는 사람. 삼승(三乘)의 하나. 십계(十界)의 하나. 보살에게는 .. 기도 2011.05.16
금강경27 / 중생은 중생이 아니라 오직 그 이름이 중생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여, 그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님도 아니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여래는 중생이라는 것은 중생이 아니라고 설하나니 오직 이름만이 중생인 것이다."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강좌 기도 2011.04.07
금강경26/설하는 바 법이 있다라고 하면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 "수보리여, 그대는 여래가 '나는 응당히 법을 설한다'라고 생각한다고 여겨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께서 설하는 바 법이 있다'라고 한다면 이는 곧 부처를 비방하는 것이니 이는 내가 설하는 바를 알지 못하는 까닭이다. 수보리여, 법을 설하지만 가히 설할 만한 법이 없기 때.. 기도 2011.04.06
회향(廻向) 불교에서는 자기가 얻은 정당한 대가나 결실을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게 돌리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회향(廻向)은 바로 이런 것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회향은 자기가 닦은 공덕을 돌리는 것입니다. 그 돌리는 대상은 보리, 즉 깨달음과 중생입니다. 이것은 육바라밀에 있어서 보살의 대표적인 실천을 .. 기도 2011.02.22
금강경25 / 그 이름이 구족색신이다 여래는 색신을 구족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한 구족색신은 곧 구족색신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이름만이 구족색신인 것입니다.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강좌 기도 2010.11.12
금강경24 / 복덕이 없는 까닭에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설한다 "수보리여, 만약 참된 복덕이라면 여래는 얻을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니라. 복덕이 없는 까닭에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설한 것이니라. "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 기도 2010.10.12
금강경23 / 과거, 현재,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 "수보리여, 저 모든 국토에 살고 있는 여러 중생들의 가지가지 마음을 여래는 다 알고 있느니라. 왜냐하면 여래는 모든 마음을 다 마음이 아니라고 설하기 때문이니 이를 일컬어 마음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 기도 2010.10.05
금강경22 / 무아법에 통달한 사람이 참다운 보살 수보리여, 무아법(無我法)에 통달한 사람이 있다면 여래는 그를 '참다운 보살'이라고 이름하리라."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강좌 기도 2010.09.20
금강경21/일체법은 무아이며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다 "수보리여, 실로 유법에 집착하지 않으므로 이름하여 보살이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래는 '일체법은 무아(無我)이며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다'라고 했느니라. 출처 : 서재영불교기초교리강좌 기도 2010.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