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종성(鍾聲)
원차종성변법계 원컨대 이 종소리
願此鐘聲遍法界 법계에 두루하여
철위유암실개명 철위산의 깊고 어두운
鐵圍幽暗悉皆明 무간지옥 밝아지며
삼도이고파도산 지옥, 아귀, 축생의 고통을
三途離苦破刀山 일체를 여의옵고 도산지옥 무너지며
일체중생성정각 모든 중생 바른 깨달음
一切衆生成正覺 이루어 지이다
나무 비로교주 화장자존 비로자나 교주이시며
南無 毘盧敎主 華藏慈尊 화장세계의 자존께서
연보게지금문 포낭함지옥축 보게의 금문 연설하시고
演寶偈之金文 布琅函地獄靭 낭함의 옥축을 펴신
진진혼입찰찰원융 티끌과 티끌이 혼융하고
塵塵混入刹刹圓融 찰토와 찰토가 원융무애한
십조구만 오천사십팔자 십조구만
十兆九萬 五千四十八字 오천사십팔자의
일승원교 대방광불화엄경 (3) 일승원교인
一乘圓敎 大方廣佛華嚴經 화엄경에 귀의하옵니다
제일게(第一偈)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사람이 삼세일체 부처님을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온전히 알고자 할진대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 응당법계의 성품을 관하라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일체가 오직 마음으로 지은 것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 (지옥을 파하는 진언)
나모 아타 시지남 삼먁 삼못다 구치남 다냐타
옴 아자나 바바시 지리지리 훔 (3)
장엄염불(莊嚴念佛)
원아진생무별념 나는 이 생 다하도록
願我盡生無別念 다른 생각없이
아미타불독상수 오로지 아미타불
阿彌陀佛獨相隨 따르리다
심심상계옥호광 마음 마음을 항상
心心常係玉毫光 옥호광명에 두며
염념불리금색상 생각 생각마다 금색상호
念念不離金色相 여의지 아니하리다
아집염주법계관 내가 염주를 들고
我執念珠法界觀 법계를 관찰하매
허공위승무불관 허공을 끈 삼아
虛空爲繩無不觀 꿰이지 않음이 없음이라
평등사나무하처 평등한 노사나불
平等舍那無何處 어느 곳엔들 안계시리요만
관구서방아미타 서방의 아미타불을
觀求西方阿彌陀 관하여 구하고자
나무서방대교주 서방정토의
南無西方大敎主 대교주이신
무량수여래불 무량수불게
無量壽如來佛 귀의 하나이다
나무아미타불
南無阿彌陀佛
아미타불 본심미묘진언 (아미타불의 본심을 나타낸 미묘한 진언)
阿彌陀佛 本心微妙眞言
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 (3)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원컨대 이 공덕
願以此功德 普及於一切 널리 일체에 미쳐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나와 중생들 마땅히
我等與衆生 當生極樂國 극락국에 태어나
동견무량수 개공성불도 다 함께 무량수불 친견하고
同見無量壽 皆共成佛道 불도 이루어지이다
나무아미타불
南無阿彌陀佛
종송(鍾頌, 쇳송)
종을 치며 하는 독송으로 새벽종송(朝禮鍾頌)과
저녁종송(夕鍾頌)이 있다.
새벽종송은 도량석이 끝나는 것과 동시에
작은 소리로부터 큰 소리로 점차 높이 울린 다음
게송을 하면서 종을 치게 된다.
그 의미는 아미타불의 위신력(威神力)과
극락세계의 장엄을 설하여 지옥의 고통 받는
유주무주의 중생들이 종송을 듣고서
불보살님께 귀의 발원하여 왕생극락하도록 구제하는데 있다.
저녁종송은 저녁예불 전에 타종 다섯 번을 하면서 송하는데
그 내용은 일체의 번뇌를 끊고 지혜를 길러 보리심을
냄으로써 지옥을 파하고 삼계를 벗어나 성불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송은 게문(偈文)과 더불어 이를 송하는
음악적 의미를 중요시한 말이다.
예로부터 종송에는 경산송(京山頌)과
팔공산송(八公山頌)이 있었다.
경산송은 서울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것으로
경쾌한 느낌을 준다고 하며, 팔공산송은 영남지역 등에서
행해지던 것으로 유연한 느낌을 준다고 하여
전통적으로 팔공산송이 유명하다.
파계사를 중심으로 오랫동안 전승되어 오다가
오늘날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종송의 음률은 범패의 일종으로서 그 음악적 의미는
한국 전통음악의 특수한 선율을 지니고 있어 중요시된다.
출처:불교인터넷음악방송국
'독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천수경/영인스님 (0) | 2009.08.18 |
---|---|
우리말 법성게/영인스님 (0) | 2009.08.17 |
대웅전 기도 (0) | 2009.06.23 |
장엄염불(莊嚴念佛) 우리말 풀이 (0) | 2009.06.02 |
금강경(金剛經) /혜광스님 독경(40分) (0) | 200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