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법준스님 우리말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 독송 : 법준스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은 1205년 고려의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지은 책으로 불교에 처음으로 마음을 두는 사람에게 여러 가지 경계할 점을 가르친 내용이다. 1397년 상총(尙聰)이 태조의 명으로 전국 사원의 청규(淸規)로 시행하였.. 독경 2008.12.09
불자들을 위한 발원문 / 대행 朗讀(불심정사) 불자들을 위한 발원문 / 대행 朗讀(불심정사) 우주에 충만하사 아니 계신 곳 없으시며 만유에 평등하사 두루 살펴 주옵시는 제불 보살님이시여! 여기에 모인 저희들은 더 없이 크고 맑은 뜻을 간직한 불자들 이옵기에 환희와 희망에 가득찬 가슴을 열고 진심으로 발원 하옵니다. 무변 법계에 실상 광명.. 독경 2008.12.01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영인스님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이시에 무진의보살이 즉종좌기하야 편단우견하고 합장향불하야 爾時 無盡意菩薩 卽從座起 偏袒右肩 合掌向佛 이작시언하사되 세존하 관세음보살이 이하인연으로 而作是言 世尊 觀世音菩薩 以何因緣 명관세음이닛고 불고무진의보살하사대 선남자야 名觀世音 .. 독경 2008.11.17
금강경/영인스님 〈금강경〉은 실체 없는 현상세계의 성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거대한 천상의 구(球) 속에 별·어둠·빛·신기루·이슬·거품·번개·구름이 나타났다가 꿈과 같이 사라지듯이, 개체로 나타나는 모든 것은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대부분의 짧은, 후기의 〈반야바라밀경〉에서와 마찬가지.. 독경 2008.11.13
천수경/혜명스님 기타염불 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세 번)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세 번) 개경게 開經偈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我今聞見得修.. 독경 2008.11.05
천수경[千手經]/세민스님 천수경[千手經]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다라니경"의 준 이름 관세음 보살의 대비주(大悲呪)로서 불자들에겐 친근한 경전이다. 이 경은 옛날 인도의 범어(梵語)를 그대로 우리말로 음역(音譯)하여 읽는 것이며,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모든 불자들과 신상의 비밀 명호이기 때문에 정.. 독경 2008.10.23
정토선 염불 나무아미타불 * 나무아미타불 [namo amitayurbuddhaya] (산)namo amitāyurbuddhaya. 아미타불(阿彌陀佛)에 귀의한다는 뜻의 불교용어. 여섯 글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육자명호(六字名號), 또는 줄여서 명호(名號)라고 불린다. 일종의 진언(眞言)으로서, 이 여섯 글자는 원행(願行)이 구족(具足)하므로 이를 부르고 생각하면 .. 독경 2008.10.13
신묘장구대다라니/법상스님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 기제 새바라 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말아 미.. 독경 2008.10.04
삼귀의, 사홍서원, 청법게 /한동희스님 삼귀의 (三歸依) 귀의불 양족존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歸依佛 兩足尊 귀의법 이욕존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나다.) 歸依法 離欲尊 귀의승 중중존 (거룩한 스님들게 귀의합니다.) 歸依僧 衆中尊 사홍서원 (四弘誓願) 중생무변서원도(가없는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衆生無邊誓願度 번뇌무진서.. 독경 2008.09.24
관음정근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독경 200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