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경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설 / 현성스님

일흔너머 2009. 10. 26. 09:29

 

 

나모: 나무, 귀의하여 받든다. 라다나: 보배, 다라야야: 다라야: 삼(3); 야: 에게.
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삼보에게 귀의하여 받들겠습니다


나막: 나무, 귀의하여 받든다. 알약: 성(聖)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야: 관자재에게, 모지: 보리, 사다바야: 살타에게. 마하: 크다, 대(大). 사다바야: 보살에게, 마하: 크다, 대(大). 가로니가야(까로니까야): 비(悲)존에게.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가로 니가야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에께 보리살타에게 대보살에게 대비하신 님에게 귀의하여 받들겠습니다.


: 모든 진언과 다라니와 주문의 모체가 되는 것이며, 모든 소리의 어머니이다. 또한〈옴〉은 우주의 핵심이며 지극한 찬탄의 소리이며 상대를 섭복(攝伏) 받는 힘이 있는 것이다.

살바: 일체. 바예수: 두려움. 다라나: 구제, 구도. 가라야: 행위한다.
다사명: 그런 까닭에. 나막까리 다바(나막 까리다바): 어지신 분을 귀의하여 받든다. 이맘: 이로 말미암아. 알야(알약): 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 관자재보살. 다바: 위신력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다사명 나막까리 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일체의 두려움에서 구제해 주시는 저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고 예경하면 이로 말미암아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의 위신력은 출현한다.


니라간타: 청(靑) 경(頸)이란 관세음보살이 과거 독(毒)용(龍)과 싸운 행적을 나타냄 나막: 음성이 높은. 하리나야: 마음, 심수(心髓), 마발다: 회귀(回歸), 회(回)경(京), 돌아온다. 이사미 - 나를, 나에게. 살발타: 일체의 목적, 이익. 사다남: 완성, 성취. 수반: 길상(吉祥), 훌륭한. 아예염: 불가(不可)승(勝), 이길 수 없는. 살바 - 일체. 보다남 - 귀신, 정영(精靈)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타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청경(靑頸) 관세음보살이라고 하는 명성이 높은 마음의 주(呪)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精靈), 귀신들이 이길 수 없는 분이시여


바바말아: 탄생하다, 존재하다, 있다, 삶의 길. 미수다감: 정화(淨化), 청정(淸淨). 다냐타: 이와 같이. : 극찬의 의미를 지닌 진언의 근본되는 소리. 아로게 = 아로가, 광명, 명조(明照), 안목(眼目), 주시(注視), 봄. 마지: 숭배, 공경, 찬탄. 로가(로까): 세간, 세계. 지가란제: 초월하다. 혜혜 - 오!. 하례: 신(神)의 이름. 실어나른다.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게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모든 삶의 길에서 우리를 청정케 하옵시는 분이시여. 옴! 광명존이시여, 광명의 지혜존이시여, 세간을 초월하신 존(尊)이시여. 오,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으로 실어나르시옵소서.


마하: 대(大). 모지 사다바: 보리살타, 보살. 사마라 사마라: 기억하다 억념(憶念)하다. 하리나야: 마음의 진언, 심수(心髓). 구로구로: 작위(作爲), 시행, 행위. 갈마(카르마): 업(業), 작용, 작업, 행업, 작법, 행위. 사다야 사다야: 성취한다 성취한다. 도로도로: 호지(護持) 호지, 보호해 가지다 보호해 가지다. 미연제: 승리하다, 조복받다, 아무도 이길 수 없다.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위대하신 보살이시여, 우리가 외우는 진언을 기억 하옵소서 억념하옵소서, 작업을 시행하옵소서, 실행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우리를 보호하고 굳게 지켜 주옵소서, 우리를 보호하고 굳게 지켜 주옵소서, 승리자시여, 승리자시여


마하 미연제: 위대하신 승리자, 대승리자. 다라다라: =도로도로, 수지(受持), 보존, 임지(任持). 다린(다라) - 받아서 지니다. 나례 - 대지(大地)의 왕. 다린 나례: 보호해 가지는 주인이시여. 새바라: 자재(自在). 자라: 발동(發動), 행동. 마라: 진구(塵垢), 때, 더러움, 오염. :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사(不定詞). 미마라: 더러움을 벗어난, 때를 없앤. : 〈미〉와 같이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사(不定詞). 아마라: 미마라와 같이 더러움을 벗어난, 때를 없앤. 몰제: 훌륭한 모습, 아름다운 모습. 예혜혜(예히예히): 강림하다, 오다.
마하 미연제 다라다라 다린 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위대하신 승리자시여, 보호해 주옵소서, 보호해 주옵소서, 보호해 가지는 대지(大地)의 주인이시여, 자재존이시여, 발동하옵소서, 발동하옵소서, 우리들의 불행을 초탈한 분이시여, 진구(塵垢)가 청정 원만한 분이시여, 우리에게로 오십시오, 오십시오.


로계: 세간(世間), 세계. 새바라: 주인. 라아: 탐심. 미사: 독(毒). 미나사야: 멸망, 소멸. 나베사: 진심(瞋心), 성내는 마음. 미사: 독(毒). 미나사야: 소멸(消滅), 멸망(滅亡). 모하: 우심(愚心), 어리석은 마음. 자라: 동요(動搖). 모하자라: 어리석음에 의한 행동. 미사: 독(毒). 미나사야: 소멸(消滅). 호로: 취(取)해 가지다, 뿌리채 가져가다.
로계 새바라 라아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세간의 주인이신 자재존이시여, 탐심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진심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어리석음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어서 빨리 가져 가십시오, 취(取)해 가십시오.


마라: 더러움. 호로: 거두어가다. 마라호로: 진구(塵垢) 때를 취거(取去)하옵소서. 하례: 신(神)의 이름, 운재(運載), 실어나르다. 바나마(파드마, 반메, 빠드마): 연꽃. 나바: 마음, 중심, 배꼽, 중앙. 사라사라: 물의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의성어로서 여기서는 감로(甘露)법수(法水)의 흐름. 시리시리: 물의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의성어로서 여기서는 감로의 지혜 광명을 유출함. 못쟈 못쟈: 붓다, 못다, 불타, 깨달음, 도(道), 깨치옵소서, 깨치옵소서. 모다야 모다야(보다야): 보리(菩提), 깨닫게 하옵소서, 깨닫게 하옵소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나바 사라 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진구(塵垢) 때를 취거(取去)하옵소서. 연꽃의 마음을 간직한 이여, 감로(甘露)법수(法水)를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 감로의 지혜 광명을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 깨치옵소서, 깨치옵소서, 깨닫게 하옵소서, 깨닫게 하옵소서.
여기까지는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을 여러 가지 의미로 강조함으로써 우리의 서원을 성취케 하려는 데 그 뜻이 있는 것이다.


매다리야(마이트리야): 미륵보살, 자비스러운, 인정이 깊은. 니라간타: 청(靑)경(頸)관음. 가마사: 욕망, 원망(願望). 날사남 : 바라본다. 바라하라나야: 기쁨, 환희 마낙: 공경, 경외. 사바하: 성취, 원만, 구경, 완성 등의 뜻이 담긴 종결어미(終結語尾)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첫 번째 이름(의미): 자비심이 깊으신 청(靑)경(頸) 관음존이시여, 희망의 성취를 바라는 자에게 환희 공경심을 내게 하는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야: 성취.
싯다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두 번째 이름(의미): 성취하신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싯다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세 번째 이름(의미): 위대하신 성취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 성취. 유예: 요가. 새바라야: 자재(自在)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네 번째 이름(의미): 요가를 성취하신 자재존(自在尊)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니라간타: 청(靑)경(頸)관음.
니라간타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다섯 번째 이름(의미): 청경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라하: 산돼지. 목카: 얼굴. 싱하: 사자.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여섯 번째 이름(의미):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나마: 연꽃. 하따야: 잡다.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일곱 번째 이름(의미): 연꽃을 손에 잡으신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자가라: 큰 둥근 바퀴. 욕다야: 전투, 전쟁.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여덟 번째 이름(의미):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상카섭나네: 법(法) 소라 나팔 소리. 모다나야: 깨닫게 하는.
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아홉 번째 이름(의미): 법(法)소리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 크다. 라구타: 곤봉. 다라야: 가지다.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열 번째 이름(의미):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마: 왼쪽. 사간타: 어깨. 이사: 모가 나다. 시체다: 굳게 지키다. 가릿나: 흑색(黑色). 이나야: 승리자(勝利者).
바마사 간타니사 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열한 번째 이름(의미): 왼쪽 어깨의 모서리를 굳게 지키는 흑색의 승리자이신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먀가라: 호랑이. 잘마: 가죽. 이바사나야: 옷을 입다.
먀가라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열두 번째 이름(의미):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이상의 열두 가지 관세음보살님은 때로는 자비스러운 모습으로, 때로는 호랑이 가죽옷을 입고 있는 모습으로, 때로는 전투하는 모습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그것이 상징하는 진정한 숨은 의미를 곰곰히 생각해 보아야 한다. 관세음보살은 한 없는 자비심을 베풀기 위하여 제도할 중생의 근기에 따라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나타나 중생을 제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3번)
이 부분은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맨 처음에 나왔던 구절인데 맨 마지막에서도 다시 되풀이하고 있다. 그 뜻은
삼보께 귀의하며 받드옵니다.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에게 귀의합니다
이다. 이것은 삼보와 관세음보살에 대한 끝없는 예배와 존경심의 표현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불교를 신앙하는 기본적인 마음가짐이다.

신묘장구대다라니(범어를 한글로 음역)
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 까로 니까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타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게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 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 미연제 다라다라 다린 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 미나사야 나베사 미사 미나사야 모하 자라 미사 미나사야 호로호로. 마라 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보다야 보다야. 마이트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마하 싯다야 사바하. 싯다 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 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 라구타 다라야 사바하. 바마 사간타 이사 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먀가라 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3번)


신묘장구대다라니(범어를 뜻 번역)

마하 가로니까야 흐리다야 다라니(대비심 다라니)

삼보에게 귀의하여 받들겠습니다.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에께 보리살타에게 대보살에게 대비하신 님에게 귀의하여 받들겠습니다. 일체의 두려움에서 구제해 주시는 저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고 예경하면 이로 말미암아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의 위신력이 출현하십니다. 청경(靑頸) 관세음보살이신 명성이 높은 마음의 주(呪)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精靈) 귀신들이 이길 수 없는 분이시여. 모든 삶의 길에서 우리를 청정케 하옵시는 분이시여. 이와같이 옴! 광명존이시여, 광명의 지혜존이시여, 세간을 초월하신 존(尊)이시여. 오!,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으로 실어 나르시옵소서. 위대하신 보살이시여, 우리가 외우는 진언을 기억하옵소서, 억념하옵소서, 작업을 시행하옵소서, 실행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우리를 보호하고 굳게 지켜 주옵소서, 우리를 보호하고 굳게 지켜 주옵소서, 승리자시여, 승리자시여. 위대하신 승리자시여, 수지 보존하옵소서, 보호해 주옵소서, 보호해 가지는 대지(大地)의 왕이신 자재존이시여, 자재존이시여, 발동하옵소서, 발동하옵소서, 우리들의 불행을 초탈한 분이시여, 무구청정(無垢淸淨)하고 원만한 분이시여, 강림(降臨) 하옵소서, 우리에게로 오십시오. 세간의 주인이신 자재존이시여, 탐심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진심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어리석음의 독을 소멸케 하옵소서, 어서 빨리 가져가십시오, 뿌리째 가져 가십시오. 진구(塵垢) 때를 취거(取去)하옵소서. 연꽃의 마음을 간직한 관세음보살님이시여, 감로법수(甘露法水)를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 감로의 지혜 광명을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 감로의 덕(德)을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 깨치옵소서, 깨치옵소서, 깨닫게 하옵소서, 깨닫게 하옵소서.


자비심이 깊으신 청(靑)경(頸) 관음존이시여, 희망을 성취하기를 바라는 자에게 환희 공경심을 내게 하는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성취하신 분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위대하신 성취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요가를 성취하신 자재존(自在尊)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청경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연꽃을 손에 잡으신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법(法)소리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왼쪽 어깨의 모서리를 굳게 지키는 흑색의 승리자이신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삼보님께 귀의하며 받드옵니다.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에게 귀의합니다.(3번)

출처 : 불교인터넷음악방송국